벤츠 E클래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수입차는 차대번호(VIN,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를 통해 차량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차대번호에 숨겨진 '제작 연도'는 중고차 구매, 보험, 리콜 대상 확인, 수리 부품 호환 여부 확인 등 여러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벤츠 E클래스의 차대번호를 통해 제조 연식(모델 연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과, 연식과 등록연도의 차이, 세부 시리즈별 특징 구분법을 전반적으로 설명합니다.
차대번호(VIN)란 무엇인가?
차대번호(VIN)는 자동차의 지문과도 같은 고유번호로, 총 17자리의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번호는 자동차의 생산 국가, 제조사, 차량 종류, 엔진 타입, 제작 연도, 조립 공장, 생산 순서까지 담고 있어 차량의 '이력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VIN 구조 이해하기
벤츠 차량의 VIN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1~3자리 (WMI): 제조사 정보 (예: WDB = Mercedes-Benz)
- 4~9자리 (VDS): 차량 세부정보 (차종, 바디타입, 엔진형식 등)
- 10~17자리 (VIS): 생산 연도, 조립공장, 일련번호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건 10번째 자리, 이 자리가 바로 ‘제작 연도(모델 연도)’를 나타냅니다.
벤츠 E클래스 VIN으로 연식 확인하는 법
10번째 자리에 숨겨진 ‘연식 코드’
아래 표는 벤츠를 포함한 대부분의 제조사가 사용하는 연식 코드입니다. 알파벳과 숫자가 혼용되며, 반복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10번째 자리 | 연식 | 10번째 자리 | 연식 |
---|---|---|---|
A | 2010 | L | 2020 |
B | 2011 | M | 2021 |
C | 2012 | N | 2022 |
D | 2013 | P | 2023 |
E | 2014 | R | 2024 |
F | 2015 | S | 2025 |
G | 2016 | T | 2026 |
H | 2017 | V | 2027 |
J | 2018 | W | 2028 |
K | 2019 | X | 2029 |
예시: WDB 2130421A1234567
여기서 10번째 자리인A
는 2010년식을 의미합니다. 만약R
이라면 2024년식입니다.
등록연도 vs. 제조연식 차이
많은 소비자들이 '출고연도 = 연식'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벤츠 차량의 경우 차대번호가 말하는 제조연식과 차량이 국내에서 최초 등록된 연도는 다를 수 있습니다.
왜 차이가 발생할까?
- 차량은 유럽(독일 등)에서 조립되어 선적되기까지 몇 개월이 소요됩니다.
- 국내 도착 후 통관 및 인증 절차를 거치면서 수개월이 추가되기도 합니다.
- 연말 생산 차량이 다음 해에 등록되는 경우, 차량은 '작년식'이지만 등록은 '올해'로 표시됩니다.
예: 2023년 12월에 제작된 차량이 2024년 2월에 등록되면, 차대번호 상 연식은 2023년형으로 나옵니다.
중고차 구매 시 이 차이는 매우 중요
- 세금 혜택, 감가상각, 보험료 계산은 등록연도 기준이 아니라 제조연도 기준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연식이 1년만 차이 나도 중고차 가격은 수백만 원 차이가 납니다.
- 그래서 차대번호로 실제 제조연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벤츠 E클래스 시리즈별 VIN 특징
E클래스는 세대마다 VIN 중간 자릿수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차량이 어느 세대인지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W212 (2009~2016년 생산)
- VIN 예시: WDB2120361A1234567
- 중간의 212은 W212 시리즈를 뜻함
- 모델에 따라 E200, E250, E300 등으로 세분화
W213 (2016~2023년)
- VIN 예시: WDB2130421P1234567
- 213이 핵심 코드이며, 이후 자리에서 차종 및 엔진 확인 가능
- 페이스리프트 이후, E클래스에 새로운 라이트 디자인과 디지털 계기판 도입
W214 (2023년~현재)
- VIN 예시: W1K2140891R1234567
- 최신 모델인 W214 시리즈는 VIN 시작이 W1K로 바뀌는 경우도 있으며, 214는 고정
- E350, E300e (하이브리드), E220d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 구성이 VIN에서 확인 가능
벤츠 E클래스 차대 번호 확인 위치
1. 앞유리 하단 (운전석 쪽 바깥에서 보이는 곳)
운전석 쪽 앞유리 아래 부분에 금속 플레이트나 각인 형태로 VIN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차량 바깥에서 앞유리를 통해 보면 쉬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벤츠 차량의 차대 번호는 이 이 위치에 VIN을 표시해 두기 때문에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2. 조수석 B필러 도어 프레임 스티커
조수석 문을 열면 B필러, 쉽게 이야기하면 앞문과 뒷문 사이 기둥에 붙은 흰색 또는 은색 스티커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현대 자동차의 경우에는 운전석 도어 쪽에 붙어 있습니다. 해당 스티커에는 제조사, 제조일자, 추천 타이어 공기압 등의 정보가 표기 되어 있습니다. 고로 공기압 충전 시에는 해당 스티커 기준으로 이야기를 하면 OEM에서 요구하는 차량 공기압으로 맞출 수 있습니다.
3. 엔진룸 안쪽
차량 프레임 내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보닛을 열고 엔진룸 내부, 보통 앞쪽 프레임(라디에이터 서포트 근처)이나 서스펜션 마운트 근처에 각인되어 있습니다. 중고차 거래서 대부분 말씀 드리는 사항이 엔진룸 쪽 차대 번호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차대 번호가 꼭 동일한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유는 이전 포스팅에 작성해 뒀습니다.
4. 차량 등록증, 스마트키 연동 앱 등
차대 번호를 가장 쉽게 학인하는 방법은 차량 등록증을 확인 하는 방법입니다. 친절하게 배기량 부터 필요한 정보들 모두가 작성 되어 있ㅅ브니다. 요즘은 벤츠 Me 앱 등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벤츠 차량 내 차대 번호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했습니다. 사실 차대 번호가 갖는 많은 의미들이 있습니다. 특히 중고차 구매하시는 분들은 해당 내용 꼭 숙지 하시고 확인 하시는게 좋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벤츠 오너의 현실, 후륜구동의 공포 (0) | 2025.04.17 |
---|---|
법인차 벤츠 구매시 주의해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팁 (0) | 2025.04.16 |
벤츠 중고차 구매 시 차대 번호의 중요성 (0) | 2025.04.13 |
벤츠 사고 대차 시 꼭 지켜야 할 5가지 주의 사항 (0) | 2025.04.13 |
벤츠 서울 매장 총정리 : 위치, 영업시간, 지도 (0) | 2025.04.13 |